오방색과 오간색, 한국의 전통 색상
1. 오방색(五方色)과 오간색(五間色)의 의미 오방색(五方色)이란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방위에 따라 청색, 백색, 적색, 흑색, 황색의 다섯 가지 색을 기반한 것입니다. 이 색을 오정색(五正色)이라고도 합니다. 음과 양의 기운이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 토(土)의 오행을 구성합니다. 청색은 동쪽, 백색은 서쪽, 적색은 남쪽, 흑색은 북쪽, 황색은 중앙을 나타냅니다. 계절의 상징으로는 청색은 봄, 적색은 여름, 백색은 가을, 흑색은 겨울을 상징합니다. 동양의 색채 문화는 과학적인 색채가 아니라 자연과의 융화에 보다 집중한 색상입니다. 오행의 상관관계로 인해 오방색의 중간색인 오간색(五間色)이 출현되었다고 합니다. 양(陽)으로 분류되..
2023. 1. 4.
색의 기초 – 명도와 무채색의 특징, 채도, 톤
색의 기초로 다룰 수 있는 것이 색상, 명도, 채도, 톤의 개념일 것입니다. 색상은 ‘Color’라고 할 수 있는데 번역할 때 색, 색채, 색상, 색깔을 모두 ‘Color’라고 합니다. 색을 전문적으로 판단할 때 ‘Hue’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Hue’는 ‘빛깔, 색조’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명도는 ‘Value’, 채도는 ‘Chroma’, 톤은 ‘Tone’입니다. 1. 명도(Value)와 무채색 – 흰색(White), 회색(Gray), 검정색(Black) 물체나 빛의 색이 지니고 있는 밝고 어두운 정도를 명도라고 합니다. 하얀색에 가까울수록 명도가 높고,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명도는 낮아집니다. 흰색과 검은색을 양 끝에 놓고 그 사이의 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무채색 스케일 또는 그레이 스케일(..
2023. 1. 4.